읽기 전
마녀 체력을 재미있게 읽은 적이 었었는데 마녀 엄마라는 책이 있기에 집어들게 되었다.
읽은 후
작가님이 에디터여서 일까 글이 쉽고 재미있게 읽힌다.
발췌된 부분도 너무 마음에 와 닿는다.
어찌 해야 할지 모르는 카오스를 겪어내는 중에 엄마나 잘 살자는 부분이 마음이 닿는다
그래도 아직 모르겠다.
책 속에
8.
내가 택한 최선의 부모 노릇은 "엄마나 잘 살자"였다.
대신 내 몸부터 단단해지고,
넓은 세상으로 손 내밀고,
깊은 영혼을 지니는 데 몰두했다.
49.
화가 김점선의 <점선뎐>중
"아이를 낳고 나서는 이 세상에서 내가 낳은 아이를
제일 무서워 하며 살았다.
아들을 비웃거나 빈정거릴 말을 한 기억이 없다.
그런 정신 상태에 잠긴 기억도 없다.
나의 아들은 기억 속의 나를 종종 추억하면서 웃기만 하면 된다."
50
어머니가 별일 아닌 것처럼 지내니
'그렇게 큰일은 아닌가 보다' 싶었다고 한다.
51
가장 가까이 있는 부모가 먼저 슬퍼하고 좌절하면
그 어두운 기운이 자식에게 그대로 전달된다.
96
'평생 즐길 악기를 가르치고
한가지 운동을 꾸준히 시키는 것'도
부모의 큰 역할이었다.
106
끝이 보이지 않는 대평원의 자유가 오히려 두려운 법이다.
121
황현산 <밤이 선생이다>중
"여름날 왕성한 힘을 자랑하는 호박순도 계속 지켜만 보고 있으면
어느 틈에 자랄 것이며,
폭죽처럼 타오르는 꽃이라 한들 감시하는 시선 앞에서
무슨 흥이 나겠는가.
모든 것이 은밀한 시간을 가져야 한다."
136
유발 하라리는 <21세기를 위한 21가지의 제언>에서 쓴소리를 많이 했다.
특히 현재를 사는 15세 소년에게 던진 조언은 의미심장하다.
어른들에게 너무 의존하지 말라는 거다.
147
부모로서 해줄 단 세가지
박노해
무기 감옥에서 살아나올 때
이번 생에는 아이를 낳지 않겠다고 결심했다.
내가 혁명가로서 철저하고 강해서가 아니라
한 인간으로서 허약하고 결함이 많아서이다.
하지만 기나긴 감옥 독방에서
나는 너무 아이를 갖고 싶어서
수많은 상상과 계획을 세우곤 했다.
나는 내 아이에게 일체의 요구와
그 어떤 교육도 하지 않기로 했다.
미래에서 온 내 아이 안에는 이미
그 모든 씨앗들이 심겨져 있을 것이기에
내가 부모로서 해줄 것은 단 세가지였다.
첫째는 내 아이가 자연의 대지를 딛고
동물들과 마음껏 뛰놀고 맘껏 잠자고 맘껏 해보며
그 소겡서 고유한 자기 개성을 찾아갈 수 있도록
자유로운 공기 속에 놓아두는 일이다.
둘째는 '안 되는 건 안 된다'를 새겨주는 일이다
살생을 해서는 안 되고
약자를 괴롭혀서는 안 되고
물자를 낭비해서는 안 되고
거짓에 침묵동조해서는 안 된다
안 되는 건 안 된다!는 것을
뺏속 깊이 새겨주는 일이다
셋째는 평생 가는 좋은 습관을 물려주는 일이다
자기 앞가림은 자기 스슷로 해나가는 습관과
채식 위주로 뭐든 잘 먹고 많이 걷는 몸생활과
늘 정돈된 몸가짐으로 예의를 지키는 습관과
책을 읽고 일기를 쓰고 홀로 고요히 머무는 습관과
우애와 환대로 많이 웃는 습관을 물려주는 일이다
그러니 내 아이를 위해서 내가 해야 할 유일한 것은
내가 먼저 잘 사는 것, 내 삶을 똑바로 사는 것이었다
유일한 자신의 삶조차 자기답게 살아기지 못한 자가
미래에서 온 아이의 삶을 함부로 손대려 하는 건
결코 해서는 안 될 월권행위이기에
나는 아이에게 좋은 부모가 되고자 안달하기보다
먼저 한 사람의 좋은 벗이 되고
닮고 싶은 인생의 선배가 되고
행여 내가 후진 존재가 되지 않도록
아이에게 끊임없이 배워가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나는 그저 내 아이를
'믿음의 침묵'으로 지켜보면서
이 지구별 위를 잠시 동행하는 것이었다
181
허나 자식은, 사랑하기에 보내는 것이 맞다.
185
[햄릿]에 등장하는 폴로니어스는 부모 곁을 떠나는 아들 레어티스한테 이렇게 당부한다.
"생각나는대로 지껄이지 말고,
엉뚱한 생각일랑 행동으로 옮기지 마라.
친절하게 보이되,
결코 상스럽게 굴지는 마라.
친구를 사귈 때는 일단 겪어 본 다음,
진정한 우정이면 쇠사슬로 영혼에 묶어 두듯이 잘 지켜라.
그러나 모든 신출내기 허풍쟁이들과 어울리느라 손바닥이 닳을 정도가 되면 안 되지.
조심해서 싸움에 휘말리지 않도록 해라.
그러나 싸워야 할 때는 상대가 너를 두려워 할 정도로 혼을 내줘라."
225
장강명 에세이 [5년 만에 신혼여행]
"자식들의 인생에 과도하게 간섭하는 것.
자식이 타인임을 인정하지 못하는 것.
자식들의 인생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정신적인 폭력을 서슴지 않는 것."
작가의 다른 책
'R: 책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평] 요시다 가요(2020)그 증상, 등 스트레칭이 해결해드립니다. 비타북스 (0) | 2022.12.24 |
---|---|
[서평] 사토 세이지(2020)근육에 힘 좀 빼고 삽시다. 포레스트북스 (0) | 2022.12.14 |
[서평] 하브 에커(2020) 백만장자 시크릿. 알에이치 코리아 (1) | 2022.11.30 |
[서평] 이서윤. 홍주연(2020) 더 해빙. 수오서재 (0) | 2022.11.30 |
[서평] 팀페리스(2017)나는 4시간만 일한다. 빛과 향기 / 추천 도서 리스트와 서점링크 (0) | 2022.11.29 |
댓글